[KoAct 매거진] AI 의사 선생님의 등장 - 디지털 헬스케어편
2023.10.23

KoAct 매거진을 통해 투자와 관련된 이야기를
쉽고 간편하게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오늘은 인구 고령화로 주목해야 할
바이오헬스케어 산업 중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해 준비했습니다!
함께 살펴볼까요?
🔹 KoAct 매거진 🔹
① OO 분야와 AI의 만남!
② 약 640억 원을 투자한 이유
③ 세계가 인정한 기술력
AI에게 진료받는 시대!
최근, 디지털 기술과 데이터를 활용해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디지털 헬스케어'가 각광받고 있습니다.
특히 가장 빠른 성장 속도를 보이고 있는
*AI 분야는 2022년 이후 연평균 37%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출처 : precedenceresearch 2021년 말)
2030년 약 1,879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됩니다.
빌 게이츠와 엔비디아의 선택
미국의 대표적인 의료 AI 기업들을 살펴보면
'리커전'은 공식 발표를 통해
엔비디아의 대규모 투자 소식을 알렸고,
'슈뢰딩거'의 투자 기관 현황에서는
빌 게이츠 재단이 눈에 띄는데요.
특히 '슈뢰딩거'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과 데이터를 통한
자체적인 신약 개발 사업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전 세계가 주목한 한국의 기술력
의료와 IT 분야에서 우수한 기술력을 갖춘
한국은 어떨까요?
한국은 대표적으로 *암 진단 의료 AI 기술력을 보유한
'루닛'이 전 세계적으로 기술력을 인정받아
주요 국가 병원에서 의료 AI 시스템을 도입시키고 있는데요.
(*언론보도 23.04)
이외에 의료 AI 기업 '뷰노', '제이엘케이' 등도
뛰어난 솔루션을 선보여 기대되고 있습니다.
변화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액티브한 투자로 새롭게
KoAct 바이오헬스케어액티브 ETF
- KoAct 바이오헬스케어 액티브ETF / 투자위험등급 : 2등급[높은위험]
- 총보수 : 연0.50%(집합투자: 0.45%, AP: 0.01%, 일반사무: 0.02%, 신탁: 0.02%)
- 본 자료는 참고 자료로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각종 자료와 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작성된 것이나 본 자료의 내용이 향후 결과에 대한 보증이 될 수 없으며, 본 자료를 본래의 용도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했을 때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은 이에 대해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본 콘텐츠에는 일부 주관적 견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본인의 투자판단하에 신중하게 투자결정하시기 바랍니다.
- 투자자는 집합투자증권에 대하여 금융상품판매업자로부터 충분한 설명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 투자 전 [간이]투자설명서 및 집합투자규약을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습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자산가격 변동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0~100%]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증권거래비용 등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삼성액티브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2023-071호(2023.10.23~2024.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