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미디어룸

액티브 상품과 전략을 보다 생생한 컨텐츠로 확인하세요!

미디어룸 콘텐츠 보러가기
02.

인사이트

삼성액티브자산운용만의 투자 콘텐츠를 확인해 보세요.

ASIC의 시대는 온다! 브로드컴 밸류체인!ㅣ KoAct 브로드컴 밸류체인 액티브 ETF  thumbnail image
KoAct 이슈코멘트

ASIC의 시대는 온다! 브로드컴 밸류체인!ㅣ KoAct 브로드컴 밸류체인 액티브 ETF

브로드컴 F3Q25 실적 요약 ($bn, $) *출처: 브로드컴, 2025.09.04     ​*출처 : 브로드컴, 기준일 : 2025.09.04 / 상기 내용은 향후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당분기 브로드컴 실적은 컨센서스를 상회하였습니다.매출 $16.0B (vs. 컨센 $15.8B 상회) 하였으며, AI 반도체향 매출이 $5.2B (YoY +~63%)로급격한 성장세를 보였어요.   Adj. EBITDA는 $10.5B, 마진율은 66%로 가이던스에 부합하는 실적을 발표했으며, EPS는 $1.69B 로 컨센서스를 상회했습니다.   이번 분기 실적은 AI 가속기의 성장이 가장 큰 키포인트가 되었는데요. 네트워킹과 VMware(인프라SW) 부문의 고성장으로 분기 최대 실적을 경신했습니다.   또한 차분기(FY4Q25) 가이던스로 매출 $17.4B로 발표하며, 컨센서스 $17.0B를 상회했어요.   반도체 부문은 $10.8B로 발표하였으며, 그 중 AI 반도체가 $6.2B로 여전히 고성장* 유지하고, 비 AI 반도체는 $4.6B으로 발표했습니다.   AI 반도체 분기 매출이 $6.2B로 추가 상향된 것은 연쇄적 증설과 더불어 납품처 확대의 영향이 컸다고 언급했습니다. ​* 3분기에 이어 4분기에도 60% 이상의 성장 가이던스 제시 참고: 4분기 AI 반도체 $6.2B 가이던스 YoY +67.6%, QoQ +19.2% / 3분기 AI 반도체 $5.2B 가이던스 YoY +67.7%, QoQ +18.2%​   Adj. EBITDA 마진은 67%로, 마진율 역시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     | 핵심 포인트 (What changed?) * 출처: 삼성액티브자산운용, 기준일:25.09.04 * 상기 내용은 향후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AI 파이프라인의 질·양적 확대 AI 매출은 당분기 $5.2B에서 다음 분기 $6.2B 가이던스를 제시했는데요. 이는, XPU(맞춤형 가속기) 당분기 매출이 AI의 65% 비중인데, XPU 관련 $10B 이상의 수주를 추가로 확보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26 3Q까지 납기).   2. ‘4번째 대형 고객’ 가시화 기존 3개 고객(예: Google/Meta/바이트댄스) 외 신규 대형 고객의 양산 주문이 시작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26년 초부터 본격적으로 물량이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FY26 AI 성장률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 (이전 +60% 가이던스 대비 상향).   3. 백로그 사상 최고치 달성 당분기 총 $110B(절반 이상 반도체,그중 AI 비중 압도적)으로 사상 최고치를 달성했습니다. 단기 매출의 가시성/방어력 강화되었다고 판단됩니다.   4. 네트워킹은 ‘Scale Across’ 수요가 이끈다 대규모 LLM 클러스터가 데이터센터 간(≤100km) 단일 클러스터처럼 동작하도록 연결하는 고난도 이더넷 라우팅의 수요 확대되고 있습니다. 브로드컴은 Jericho3 경험 + Jericho4 출시 + Tomahawk6 기반 지연·전력 최적화 등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네트워킹 칩 부문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어요.   5. 비 AI 부문 : 완만한 회복세 브로드밴드만 견조한 상황에서, 엔터프라이즈/스토리지는 여전히 부진한 모습입니다. 의미 있는 회복은 ’26 하반기부터 전망하고 있습니다.       | 사업부별 주요 코멘트   • XPU(커스텀 가속기) 고객 내 세대 전환을 거치며 점유율 단계적 확대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소프트웨어 스택 안정화가 촉매 역할이 되고 있는 상황인데요. 장기적으로 GPU 대비 채택 비중 상승 가능성이 재확인되었다고 판단합니다.   • AI 네트워킹 400G→800G→1.6T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다만 FY26에는 XPU 믹스 확대로 AI 매출 내 네트워킹 비중은 상대적으로 하락할 것이지만, 절대액은 증가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 Q&A 하이라이트(요지)   • ’26 AI 성장 상향 근거는? 기존 3사 물량 증가 + 신규 대형 고객의 즉각적 수요.   • 네트워킹/커스텀 믹스는? ’ 26은 XPU가 성장의 주력, 네트워킹은 절대액↑·비중은 상대적↓.   • 잠재 고객 풀은 어떻게 되는지? LLM을 자체 개발·플랫폼화하려는 소수 메가 플레이어에 집중(현 7곳 트랙 + 추가 1곳 가능성).   • Scale across로 추가적인 업사이드를 잡을 수 있는지? 단일 DC를 넘어 다(多) DC 클러스터로 확장하며 딥버퍼·혼잡제어 같은 고급 이더넷 기능 수요 급증.   • 비 AI 회복 시점은 언제일지? FY26 H2. 신규 수주는 증가세 전환(YoY +20%대).   • 백로그 구성은 어떻게 되는지? 50% 이상이 반도체, 그중 AI 비중이 가장 큼.   • XPU vs GPU 의 경쟁 상황은? 수년간 세대별 전환을 통해 XPU 점유율이 점진 우위 전망.     | KoAct 브로드컴 밸류체인 액티브 ETF 포트폴리오​   자료 : Factset, 삼성액티브자산운용 / 2025년 9월 5일 기준 ※ 상기 내용은 향후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저희 포트폴리오에서는 브로드컴 비중 24%로중심을 잡고 있으며 칩 디자인 34.8%,반도체 생산 22.5%, 네트워크 16.1%, 인프라 소프트웨어 2.9%로 단일 리스크 없이 브로드컴 밸류체인 전체에 분산하여 투자하는 ETF입니다.   다만, ASIC/GPU/네트워크 등 필수 인프라 영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기준일: 2025.09.05/ 예상 포트폴리오 및 벤치마크 구성 비중 등 상기 내용은 향후 달라질 수 있습니다.   AI 인프라에서 ASIC의 중요성은 점점 더 부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브로드컴 실적을 통해 AI 인프라에서의 투자 흐름이 ASIC + 네트워크 등으로 이동 중이란 것이 확인되었다고 판단하며, 브로드컴은 정중앙에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KoAct 브로드컴 밸류체인 액티브 ETF는 그 변화를 선제적으로 담아내는 전략입니다.   향후 AI의 흐름을 KoAct와 함께하시는 건 어떨까요?     - KoAct 브로드컴밸류체인액티브 ETF / 투자위험등급 : 2등급[높은위험] - 상장일 : 2025.05.20 - 총보수 : 연 0.50% (집합투자: 0.45%, AP: 0.01%, 일반사무: 0.02%, 신탁: 0.02%)   - 본 자료는 참고 자료로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각종 자료와 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작성된 것이나 본 자료의 내용이 향후 결과에 대한 보증이 될 수 없으며, 본 자료를 본래의 용도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했을 때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은 이에 대해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본 콘텐츠에는 일부 주관적 견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본인의 투자판단하에 신중하게 투자결정하시기 바랍니다. - 투자자는 집합투자증권에 대하여 금융상품판매업자로부터 충분한 설명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 투자 전 [간이]투자설명서 및 집합투자규약을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이 금융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자산가격 변동 및 환율 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0~100%]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증권거래비용, 기타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ETF거래수수료가 별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구성종목은 시장상황 등에 따라 변동 가능합니다.   ​ ​ 삼성액티브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2025-166호 (2025.09.17~2026.09.16)    

2025.09.23
이제 미국 바이오도 액티브로 간다ㅣKoAct 미국바이오헬스케어액티브 thumbnail image
KoAct 인사이트

이제 미국 바이오도 액티브로 간다ㅣKoAct 미국바이오헬스케어액티브

  오늘은 2025년 11월 11일에 상장하는 KoAct 미국바이오헬스케어 액티브 ETF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려고 합니다.         |KoAct 바이오헬스케어 액티브 ETF의 미국 버전!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이 운용하는 국내 대표 바이오 ETF, KoAct 바이오헬스케어 액티브 ETF는 다양한 개인, 기관, 고객분들의 투자에 힘입어 지난달 순자산 규모 3000억 원을 돌파*했는데요. *출처: 한국거래소, 기준일 : 2025.10.31.           *상기 내용은 향후 달라질 수 있습니다.     투자자 여러분의 많은 성원에 힘입어, 이번에는 KoAct에서 ‘미국’에 투자하는 바이오헬스케어 ETF를 출시했습니다!       |빅파마보다는 M&A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투자!       KoAct 미국바이오헬스케어 액티브 ETF는 시가총액순으로 투자하는 일반적인 패시브형 ETF와는 다르게 빅파마보다는 M&A 대상이 될 수 있는 바이오 기업들을 선별*하여 투자할 계획인데요. *시가총액 20억 불 이상 100억 불 이하 미국 바이오 헬스케어 기업에 투자               최근 5년간의 혁신 치료제 개발 주체를 보면, 시가총액이 큰 기업보다는 중소형 기업들의 개발이 더 많았기 때문에*, 단순한 빅파마 투자보다는 초과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출처: Evaluate Pharma (2026.07)       |AI와의 시너지로 떠오르는 종목을 발빠르게 편입       AI와 바이오의 결합으로, 바이오헬스케어 산업에도 지각변동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요.       이러한 업황 속 새롭게 등장하는 종목들도 발빠르게 대응해서 액티브 운용의 장점을 살릴 계획입니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KoAct 미국바이오헬스케어는 KoAct 바이오헬스케어를 운용하면서 쌓인 운용 노하우와 차별화된 리서치를 통해 기술력이 있는 미국 바이오 유망 기업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상품입니다.         실적 발표 이전에 처방전데이터를 보며 실적 시즌 수익률 극대화를 추구하고, 다양한 글로벌 헬스케어 리서치 자료들을 읽고 분석하는 등 개인투자자가 직접 하기 어려운 부분들을 대신해드리며, 회사 경영진과도 온/오프라인 미팅을 하며 바이오 투자를 더 심도 있게 진행하고자. 노력하고 있어요.       |포트폴리오       그렇게 탄생한 KoAct 미국바이오헬스케어 액티브 ETF 포트폴리오는 아래와 같습니다.         어려운 바이오 투자는 액티브 ETF에 맡기시고, 황금 같은 시간을 아껴보세요!          

2025.11.11
인사이트 보러가기
03.

Investment Philosophy

액티브 투자를 통한 고객 자산의 안정적 초과수익을 실현하겠습니다.

  • Team Approach

    리서치센터와 운용본부가 치열한 의사소통을 통해 투자를 결정하는 Bottom-up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구축한다.

  • High Conviction

    투자대상의 본질가치에 주목하고, 중장기 경쟁력과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어 투자 확신이 높아지는 종목에 선별 투자한다.

  • Risk Management

    투자의사결정 과정에서 기대수익과 리스크를 함께 고려하며,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안정적 초과수익 달성을 추구한다.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인식하고 ESG* 중심의 SRI** 개념을 투자 원칙에 반영한다.

    *Environment, Social Responsibility, Governance
    **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
삼성액티브자산운용 소개 보러가기
  • 투자자는 집합투자증권에 대하여 금융상품판매업자로부터 충분한 설명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 투자 전 (간이)투자설명서 및 집합투자규약을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이 금융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자산가격 변동, 환율 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0~100%)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증권거래비용 등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 본 웹사이트의 지수 및 수익률 정보는 코스콤, 사무수탁사로부터 제공받는 것으로, 투자 참고사항이며 오류가 발생하거나 지연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삼성액티브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2025-213호(2025.11.07~2026.11.06)